2025. 1. 31. 10:40ㆍEconomy/금융·증권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나이 금액 알아보자
2025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한 조건과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금융상품으로,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제공됩니다.
2025년에 달라진 점
2025년에는 청년도약계좌의 기여금 혜택이 강화되었습니다.
특히, 개인 소득이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기여금을 더 많이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월 최대 25,2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으며, 이는 기존보다 매달 3,200원 증가한 것입니다.
60개월 기준으로 보면 약 19만 원의 추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3년 이상 계좌를 유지한 후 해지할 경우, 비과세 혜택과 함께 기여금의 60%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기까지 유지하면 9.54%의 수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3년 후 해지하더라도 7.64%의 적금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2년 이상 가입한 경우에는 납입한 원금의 40%까지 인출이 가능하며, 성실한 납입 시 개인 신용 점수에 가산점이 부여됩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및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가입 대상은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이며, 소득 조건이 있습니다.
기여금을 받기 위해서는 총급여액이 6,000만 원 이하이어야 하며,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도 계좌는 개설할 수 있지만 기여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가구원 별로 중위소득이 250% 이하여야 하며, 2024년의 소득액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2023년의 가구 소득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만약 2024년에 결혼하여 가구 소득이 증가할 경우, 이 기준을 잘 확인해야 합니다.
신청 기간은 매달 1~2주차에 이루어지며, 조건에 부합하면 카카오톡으로 연락이 옵니다.
1인 가구는 3주차부터 계좌 개설이 가능하고, 2인 이상 가구는 매달 마지막 주부터 다음 달 첫 주까지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설 방법
청년도약계좌를 개설하기 위해서는 해당 은행의 앱에 접속하여 청년도약계좌를 검색한 후 가입 신청을 해야 합니다.
신청일이 되면 계좌개설 버튼을 눌러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각 은행마다 가입 가능한 시간대가 다르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은행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개설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혜택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혜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부 기여금: 납입액에 비례하여 소득 구간별로 정부 기여금이 지원됩니다.
2. 비과세 혜택: 납입액과 정부 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가 0%입니다.
3. 소득 및 우대금리: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우대금리가 제공됩니다.
5년간 매달 70만 원씩 납입하고 만기를 채우면, 원금 4,200만 원에 정부 기여금 및 이자를 포함하여 약 5,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금융상품입니다.
2025년의 변화된 조건과 혜택을 잘 활용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나이 금액 알아보자
'Economy > 금융·증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BNK부산은행 케이뱅크 전략적 마케팅 제휴 협약 (1) | 2025.01.24 |
---|---|
IBK기업은행 최고 연 7% 처음 만나는 IBK적금 출시 (0) | 2025.01.21 |
우리은행 토스와 손잡고 자녀 용돈 계좌 신규 서비스 제공 (0) | 2025.01.08 |
iM뱅크 시중은행 2 , 3호 연속 개점 (1) | 2024.12.26 |
신한투자증권 카카오뱅크 장외채권 투자 서비스 출시 (0) | 2024.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