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0월 1일부터 미국 내에 공장을 건설하지 않는 기업이 생산한 의약품에 대해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는 미국의 제조업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아메리카 퍼스트(America First)' 정책 기조를 의약품 분야에 전면적으로 적용하려는 움직임으로, 글로벌 제약 산업에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전망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는 "Starting October 1st, 2025, we will be imposing a 100% Tariff on any branded or patented Pharmaceutical Product, unless a Company IS BUILDING [a factory in the US]"라는 명확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즉,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짓거나 건설 계획을 세우지 않은 기업이 생산하는 브랜드 또는 특허 의약품에 대해 예외 없이 100%의 관세를 물리겠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조치는 사실상 외국 제약사들에게 미국 내 제조 시설 건립을 강하게 압박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7월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제조 시설을 건설하지 않을 경우 최대 2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어 , 이번 100% 관세 부과 결정은 기존 예고의 연장선상에서 보다 구체화된 실행 방안으로 평가됩니다. 그
의 핵심 기조인 '미국 우선주의'와 '리쇼어링(Reshoring)' 정책을 의약품이라는 전략적 중요 산업에 극대화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압박에 글로벌 제약업계는 이미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발표 이전부터 제약 부문 관세 부과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주요 제약회사들은 앞다투어 미국 내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해왔습니다 .
영국 제약회사 GSK는 지난 16일, 향후 5년간 미국 내 연구개발(R&D)과 공급망 인프라에 3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미국의 제약회사 일라이릴리 또한 같은 날 버지니아주에 50억 달러를 들여 제조 시설을 건설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앞서 존슨앤드존슨은 향후 4년간 미국 내 제조, 연구 및 기술 부문에 55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으며, 아스트라제네카는 2030년까지 미국에 5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은 관세라는 강력한 수단이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결정을 얼마나 강력하게 이끌어내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됩니다.
이번 의약품 관세 부과 발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전반적인 '관세 전쟁'의 일부로 해석됩니다.
앞서 그는 "10월 1일부터 주방 수납장·욕실 세면대에 50% 관세"를 부과하고, 자동차 관세를 미국, 일본에 이어 EU에도 15%로 확정하는 등 강력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예고해왔습니다.
이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자국 중심주의 경제 정책이 전 세계적인 무역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특히 의약품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필수품인 만큼, 이번 관세 조치가 국제 사회에 미칠 영향과 파장에 귀추가 주목됩니다.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의약품 100% 관세 부과 조치는 미국의 의약품 공급망을 자국 중심으로 재편하고, 고용을 창출하며 '의약품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이미 일부 글로벌 제약사들이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그의 정책에 화답하고 있어, 미국 내 제조 기반은 상당 부분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외국에서 생산된 의약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미국 소비자의 부담을 가중시키거나, 글로벌 제약 산업의 판도를 크게 뒤흔들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과 각국의 무역 관계에 어떤 장기적인 영향을 미 미칠지 앞으로의 추이가 중요합니다.
노란봉투법 공포, 중소기업 매물 급증, 차라리 사업 접겠다 위기감 확산 (6) | 2025.08.29 |
---|---|
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 합병 전격 결정 (5) | 2025.08.27 |
노란봉투법 마침내 통과! 격변하는 경제 지형, 기업은 위기 직원은 기대 (4) | 2025.08.24 |
이더리움 사상 최고치 경신 후 숨 고르기... 5천 달러 돌파 향방에 시장 이목 집중 (6) | 2025.08.24 |
정부 1.37조원 규모 상생페이백 사업 추진 최대 30만원 환급 (1) | 2025.08.21 |